본문 바로가기

취준

임원면접 준비틀

필살기

 


https://youtu.be/wHDSy_4FYUQ?list=TLPQMzExMjIwMjEhO2lKQqts8A 

 

왜 뽑여야 되는가에 대한 해명 (8~11문장)

성격, 포부, 지원동기가 그런 맥락에서 나옴

 

성격

1. 장점 ver.

나는 빠른 실행력을 가지고 있다.

구매직무에서는 다양한 조직, 개인들과 소통해야하기 때문에 돌발상황이 많이 일어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업무를 해야하는 만큼 시간관리를 위해서는 빠른 실행력이 필수적이다

나는 관련해서 두가지 경험이 있다.

첫째로 동아리 제작 굿즈 비용 90%를 절감하여 굿즈 제작후 완판함.

동아리 굿즈를 제작하는데에 있어서 예산이 부족했고, 때문에 학교에 지원을 받자는 전략을 세웠음.

생각한 전략을 바로 실행했고 금액을 지원받아 빠듯한 예산에서는 불가능했던 굿즈를 제작하여 완판하여 고객을 만족시킴.

둘째로 부족한 구매 직무 정보를 얻고자 본사 회사에 무작정 찾아가 모르는 사람 붙잡고 현직자 인터뷰를 진행

그 결과 구매직무가 가져야할 진정한 마음가짐과 답은 현장에 있다는 것을 깨달음

이처럼 생각한 바를 직접 실행에 옮겨 구매 직무 업무에 있어 누구보다 실천하는 인재로 일하겠다.

 

(능동적인 구매를 해야하는건 맞는데 왜 수동적으로 하면 안되는지 정확히 파악하자. 구매 관련 전문팀을 굳이 따로 만든 이유를 확실히 알자!)

 

2. 단점 ver.

여러 업무를 한번에 처리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는 내가 구매직무를 담당하면서 필수적으로 보완해야하는 점이다.

사업장과 협력체의 수는 물론이고 납기 일정과 종류또한 얼마나 다양하겠는가.

그치만 나는 대학교 4학년 때 봉사 동아리 회장을 하면서 스스로 해결 팁을 찾았고 어느정도 극복하고 있다.

반년간 약 10개의 행사를 한번에 진행해야 했는데 관련된 스케쥴을 모두 캘린더에 메모하여 핸드폰 알람이 울리게 했다.

일주일전 이틀전 하루전으로 세번에 울리게 하여 절대 까먹지 않게 하였다.

덕분에 모든 행사를 운영할 수 있었고 유학생 200여명에게 봉사할 수 있었다.

내가 사용한 방법과 더불어 회사에 들어가면 내 자리에서 눈에 보이는 위치에 포스트잇으로까지 메모하고 내 스스로 우선순위, 중요도를 따져 일을 처리해보는 추가적인 방법으로 빠르게 보완하겠다.

물론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스스로 매긴다음 상사분께 사전 평가를 받아보는것도 잊지 않겠다.

 

커뮤니케이션 - 솔직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솔직이라고 생각함.

솔직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해야 빠르게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확한 피드백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음

이런 객관적 이해는 협업에서의 시너지 창출에 매우 중요함.

솔직한 태도로 커뮤니케이션해서 동아리 회장으로 운영당시 관련 성공경험이 있음

동아리 초창기에 내 의견이 자주 거절되어 자신감을 많이 잃었었음

그러나 문제를 해결하고자 솔직하게 스스로의 보완점을 피드백 받아 변화시켜 결국 단체 점퍼 구매라는 훌륭한 시너지를 만들어냄

내가 누비아주에서 솔직한 태도로 스스로의 업무 태도를 피드백 받아 변화시켰던 성공경험은 입사후에 적용해볼수 있을것 같다.

첫째로, 업무적으로 의견이 갈릴때 더이상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것이다.

나은 방향으로 가기위한 과정일 뿐이다 라는것을 나의 과거 경험으로 인해 확실히 알게되었기 때문이다

둘째로, 목표를 달성하는데에 있어서 솔직한 태도로 문제해결을 빠르게 있다.

당시 행동의 목적은 기분나빴으니까 알아줘(감정을 토로하는것)’ 아닌동아리의 원활한 운영이라는 목표를 해결하기 위함이었다.

당시 문제는 갈등상황을 바라보는 내 태도라고 생각했고 가장 빠른 해결 방법은 부족함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빠르게 피드백을 받아 보완하는 것이었다.

이렇듯 예를들어 업무에서 습득한 지식이나 새로 맡게된 업무 방향성이 이해가 안간다면 솔직하게 인정하고 상사분께 전달하여 부족한 부분을 확실하게 채워나가는 인재로 거듭나겠다 

 

또다른 솔직한 경험? (잘못, 부족한 점을 고쳤다거나 성공으로 이끌었다거나)

 

지식 - X

 

경험 - 구매직무에서는 무엇보다 현장이 가장 중요하다

흔히 인터넷이나 책에 적혀있는 말이지만 나는 글이 아닌 직접적인 경험으로 깨달았음

바로 본사에서 개인적으로 진행한 현직자 인터뷰였음

홈페이지에는 웰스토리의 자체 외식 브랜드인 델라코트와 웰스토리를 구분지어 적어놔서 두 브랜드에 관련된 취급 식자재의 품목 혹은 품질이 차이가 있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를 여쭤봄

그러나 단체급식이 맨날 똑같은거 나오는 획일화된 급식이어서 질이 안좋았고 차별화를 위해 푸드코트형 급식 서비스를 만들어서 운영했지만 최근에는 푸드코트형 단체 급식이 일반화가 되어 둘을 구분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다라는 인터넷에서 나오지 않는 정보를 얻어 현장을 중시하는 마인드가 생김.

 

태도 - 실패해도 다시 도전

신입으로 입사하게 되면 처음엔 서툰일 투성이이다

특히 구매직무는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 업무가 매우 많기 때문에 매뉴얼로는 커버되지 않을 상황이 많아 실패할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실패를 하더라도 다시 도전하여 배우고자하는 마음가짐으로 업무에 임하겠다.

나는 관련해서 성공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도 그 경험을 재생산 할수있다.

대학교 1학년 때 연기를 해보고 싶다는 마음으로 연극부에 들어갔지만 연기가 너무 어려워 바로 퇴부했다.

제대로된 도전조차 하지 않았던 자신이 너무 후회돼 다시 도전

공연 마지막 날에 동료로부터 그 배역은 너 아니면 불가능했다 라는 말을 들어 나의 재도전이 성공을 이뤘다는 걸 타인을 통해 객관적으로 알 수 있었다.

실패를 처음부터 하지 않는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그러나 실패를 해야 성공을 한다

나는 실패는 단지 성공의 과정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웰스토리에서도 마음껏 도전해보겠다.

 

포부 - 동북아 협력 (열사의 사업에 참여해 중국의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망을 구축하는데 기여)

내 최종 목표는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망 형성에 일조하여 동북아 협력의 현장에서 일하는 것.

내가 동북아 협력에서 일조할 수 있는 부분은 내 직무의 목적인 유통 공급망의 원활한 유지.

한국에서 쌓은 나의 식자재 구매 노하우로 향후 중국 사업에도 참여해 중국 식자재의 유통 공급을 신선하고 안전하게 관리해준다면 그것도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서 꿈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 믿음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열사의에서 하고 있는 사업을 꾸준히 관철시켜 나가면 된다고 생각함.

최근 중국에서는 빠르게 커져가는 외식 산업으로 확장을 우선하고 유통, 식품 안전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해 프랜차이즈 사업장에서 식품 위생에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음

여기에 웰스토리가 기여할 수 있다.

이미 웰스토리는 고쿠부의 콜드체인시스템을 도입하고 국내에서의 품질관리 노하우가 있다.

각 중국의 잠재적인 고객들은 부족한 노하우를 우리를 통해 관리할 수 있고 우리는 사업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몰입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함

그 장소가 웰스토리라고 나는 믿고 있음.

웰스토리가 추구하는 방향이 곧 내 방향.

상생이 최종 꿈인 나에게 웰스토리가 추구하는 지역 사회와의 공존은 내가 몰입할 수 있는 가장 큰 계기가 될거라고 믿는다.

국내에서 하는 업무가 결국 내 꿈에 대한 역량으로 이어지는 것이 자명하기 때문.

 

1차원적으로 보면 웰스토리에서 일하게 되어 역량이 쌓이고 인정을 받게되면 중국 법인과도 일할 기회가 생길거고 일본 고쿠부와도 기술적으로 협력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과도 협력 기회가 주어져서 동북아 협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건 삼성이 추구하고 있는 가치이다. 

(즉 최종 목표에 걸맞은 사람이 되는 것에 있어서 몰입할 수 있는 장소가 삼성웰스토리라고 생각함. 왜냐하면 나의 가치관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보완점 - 구매직무에 대한 경험, 구매 방침에 대한 지식, 여러업무를 한번에 처리하는 경험과 노하우, 내 꿈을 위한 중국어 일본어 실력

현장을 중시하며 계속 도전하겠다는 가치관은 가지고 있지만 실제 구매 경험이 부족하고 회사 내부 매뉴얼 지식이 부족하다.

그러나 자신의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보완점을 극복하며 성장하겠다

구매 방침을 공부하여 우선 지식으로 삼고, 실제 현장으로 달려가는 실행력을 바탕으로 채화시키겠다.

더 나아가 현장에서 내 매뉴얼 지식을 직접 적용 시켜보면 매뉴얼과 현장 상황의 괴리가 또 보일 수도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매뉴얼을 더 발전시키고 

또한 내 성격의 단점인 멀티태스킹에 약하다는 점을 우선적으로도 보완해야한다.

지금처럼 캘린더에 메모하는 습관과 더불어 내 자리에서 눈에 보이는 위치에 포스트잇으로까지 메모하고 내 스스로 우선순위, 중요도를 따져 일을 처리해보는 방법으로 빠르게 보완하겠다.

물론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스스로 매긴다음 상사분께 사전 평가를 받아보는것도 잊지 않겠다.

마지막으로 쌓여가는 구매 직무 역량과 함께 중국어 일본어 실력을 지금보다 더 키워야한다

언젠가 내게 기회가 주어졌을때 활용하고 싶기 때문이다.

 

예시 : 영업

성격 - 트렌드에 민감한 사람

트렌드에 주목했을때 혁신이 나옴

영업에서도 중요

나는 이런 경험~~~

 

커뮤니케이션 - 조율의 커뮤가 중요

 

지식 - 전공

세일즈 프로세스에 대한 근본적 이해가 있음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는 혁신의 기본

깨닫게 된 과정을 설명

 

경험 - loss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깨달음

손실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영업에서 성과로 이어진다

경험으로 인한 인사이트

 

태도 - 실행력

 

포부 - 리스크 관리에 정확한 목표가 있음

그래서 수익에 기여할 수 있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

 

보완점 - 아무리 인사이트가 있다고 해도 데이터에 대한 본질적 이해가 부족함

인사이트와 데이터를 브릿지 역할을 하는 지식을 키우겠다고 말함

 

2. 저질러 놓은것에 대한 해명(자가납득)

- 내가 경험을 왜 했고

- 내 역할이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뭐였으며

- 그때 맞딱뜨린 문제 상황과 목표는 뭐였고

- 가장 긍정적이고 성과가 있었던 건 뭐였고

- 부정적이고 아쉬웠던 경험?

- 경험을 구성한 구성인들은 누구?

- 가장 대표적인 에피소드는 뭐고?

- 거기에서 나의 기여도는 얼마나 되고?

- 기여과정에서 주변 평가는 뭐고?

- 결과는 뭐고?

- 배운건 뭐고?

 

  • 솔직한 태도로 협력 경험

- 내가 경험을 왜 했고

당시  행동의 목적은  기분나빴으니까 알아줘(감정을 토로하는것)’ 아닌 동아리의 원활한 운영 이라는 목표를 해결하기 위함이었다.

 문제는 상대방의 잘못보다는 개인적인 태도의 문제라고 생각했고 가장 빠른 해결 방법은  부족함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빠르게 피드백을 받아 보완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행동했다.

 

- 내 역할이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뭐였으며

내 역할은 스스로의 부족함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피드백을 받는 용기를 가지는 것이었다.

또한 갈등이 있다면 상대방을 탓하기 전에 내 문제가 무엇인지 집중하는 것이었다.

 

- 그때 맞딱뜨린 문제 상황과 목표는 뭐였고

문제 상황은 의견 충돌을 바라보는 나의 태도가 문제였다. (동아리 홍보문제라던가 컨퍼런스 행사 기념품으로 줄 상품문제라던가)

(당시의 내 태도: 내 의견이 부정당할 때마다 나의 능력에 대해 의심하기 시작하며 자신감이 떨어졌다)

따라서 목표는 빠르게 내 태도를 고쳐 협업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를 위한 마인드셋을 세팅하는 하는 것이었다.

 

- 가장 긍정적이고 성과가 있었던 건 뭐였고 

첫째, 갈등상황을 건강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됨

좋은 결과를 내기위한 하나의 과정일 뿐이라고 생각하게 됨

자신감있게 사업 추진을 하였고 그 결과 동아리 굿즈 비용을 80% 절감하여 제작 성공 (기존 120 만원에서 100만원 지원받아 40명이 5000원에 구입 가능)

둘째, 내 태도를 고쳤을 뿐만 아니라 서로의 강점을 확연하게 인식

서로가 생각하는 사고방식의 차이를 내 태도를 고치는 과정에서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나의 강점은 실행력이고 부회장의 강점은 빠른 실행력을 보완시켜줄 수 있는 리스크 관리였다.

때문에 동아리 행사 기획이나 사업 기획에서 내가 보지 못하는 리스크 들을 봐주었고 항상 상기시켜주어 더욱 완성도 있게 운영할 수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부회장을 만나 너무 다행이고 고맙다.

 

- 부정적이고 아쉬웠던 경험?

누비아주에서 깨달았던 것 이전에 인턴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소통했다면 마지막이 달랐을 수도 있다고 생각.

 

- 경험을 구성한 구성인들은 누구?

나와 부회장

 

- 가장 대표적인 에피소드는 뭐고?

동아리가 막 결성되고 나와 부회장, 그리고 팀장들 정도만 뽑혔을 때 동아리 홍보를 해야했다.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지원해줬으면 하는 마음에 팀장들에게 개인적인 지인들 혹은 본인 SNS에 많이 홍보해 달라고 부탁하고 싶었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부회장에게 물었는데 부회장은 동아리 막 결성됐는데 벌써부터 팀장들한테 과제를 내주면 부담스러워할 수도 있다고 내게 주의사항을 일러주었다.

당시의 저는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조금 움츠러들었습니다.

이런 사소한 에피소드들이 쌓여 꽤 큰 감정이 되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움직인 것입니다.

 

- 거기에서 나의 기여도는 얼마나 되고?

50% 정도라고 생각함

내가 먼저 다가가서 피드백을 받은건 사실이지만 부회장이 정말 심각하게 잘 들어줬다

그리고 같이 고민해줬다.

그런 부회장이었기에 내가 더 빠르게 내 태도를 고칠 수 있었고 더 듬직한 파트너라고 믿게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 기여과정에서 주변 평가는 뭐고?

동아리의 다른 동료였던 한 팀장에게 이 에피소드를 얘기한 적이 있는데 내가 했던 사전 행동이 확실히 키포인트였다고 인정해주었다. 

 

- 배운건 뭐고?

부족한 점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보완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나의 성장, 더 나아가 조직의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배움.

 

- 앞으로의 계획?

업무에서 습득한 지식이나 새로 맡게된 업무 방향성이 이해가 안간다면 솔직하게 인정하고 상사분께 전달하여 부족한 부분을 확실하게 채워나가는 인재로 거듭나겠다.

혹은 협력처와 사내 유관자들이 요구한 것이 제대로 이해가 안간다면 무조건 질문하고 그래도 이해가 안간다면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는 인재가 되겠다.

 

  • 인턴 실패 경험

- 내가 경험을 왜 했고

식품 관련 지식과 직무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인턴을 시작함

(품질관리나 연구쪽에 대한 이해)

 

- 내 역할이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뭐였으며

석사생 보좌역할.

기본적으로는 실험을 보좌하고 데이터를 정리 분석하여 보고하는 것이었음

가장 메인으로는 석사생의 졸업 논문을 위한 실험에 자주 참여하였고

석사생 연구가 잠깐 여유가 생길때는 외부 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실험을 보좌하였다.

 

실험 내용은 병원균의 스트레스 저항성 테스트

여러가지 종의 병원균을 대상으로 다른 종류 혹은 다른 농도의 스트레스를 가해 얼마나 잘 죽는지 덜죽는지를 측정하였다.

 

- 그때 맞딱뜨린 문제 상황과 목표는 뭐였고

목표는 사이좋게 잘 협업하기

문제 상황은 문제해결에 대한 노력을 안함

 

- 가장 긍정적이고 성과가 있었던 건 뭐였고

 

- 부정적이고 아쉬웠던 경험?

단지 상대방을 탓하며 왜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해주지 않는지에 대해서만 생각함

내가 원하는 것은 내가 고쳤으면 하는 점이 있으면 바로 말해달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왜 말해주지 않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 깊게 고민해보지 않고

갈등이 생기면 상황 탓을 많이 했던게 가장 아쉬움

 

- 경험을 구성한 구성인들은 누구?

나와 석사생

 

- 가장 대표적인 에피소드는 뭐고?

나는 실험실 제일 막내였기에 실험도구들을 정기적으로 관리해야했다.

그러나 관리 방식에 있어서 내가 계속 잘못 조치해 왔었는데 내 잘못을 알았지만 석사생은 내 잘못을 말해주지 않았다. (스스로 깨달을 수 있길 기대하며)

그렇게 잘못된 관리가 나중에 문제가 되어 실험 결과들이 이상하게 나오는 결과가 나왔고 나는 석사생에게 크게 혼났다

처음에 알려줬던 거였는데 내가 그것을 잊어버리고 계속 잘못 조치해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는 처음부터 알려줬으면 좋았다고 잘못된 생각을 해버림.

이후로도 내가 혼날때마다 나는 점점 내 스스로를 돌아보지 않고 바깥으로 원인탓을 하며 정체되기 시작했다.

 

- 거기에서 나의 기여도는 얼마나 되고?

- 기여과정에서 주변 평가는 뭐고?

다들 개인적으로 바빠서 내가 처한상황에는 크게 관심이 없었다

 

- 결과는 뭐고?

결국에는 마지막에 서로 쌓였던걸 방출하면서 관계가 좋지 않게 마무리 되었다.

 

- 배운건 뭐고?

갈등상황이 생겼을때 내 부족한 점을 먼저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바로 실행해야함. 그래야 개인 성장과 조직의 성장으로 이어진다.

당시의 해결방안은 상대방이 내 잘못을 왜 바로 말해주지 않는가였음. 스스로 한번 깊게 고민해보고 석사생에게 내가 생각한 이유를 토대로 정중하게 사과하며 피드백을 했으면 더 좋은 결과로 이어졌을 것임.

 

내가 생각했던 이유는 서로의 기준이 달랐기 때문임. 

상사는 내게 인수인계를 하며 설명을 해줬었고 때문에 당연히 내가 알고있을거라 생각.

그러나 나는 그 기대를 부응하지 못하며 갈등이 생겼던 것.

여기까지 추측을 했다면 내가 생각한 이유를 토대로 정중하게 사과했어야함.

사과의 과정에서 내 생각이 맞는지도 확인해볼 수 있고 그렇다면 구체적인 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액션플랜이 나옴

 

- 앞으로의 계획?

업무를 하며 나의 잘못이 무엇인지 현장에서 모르겠다면 여가시간에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고민해보자.

그리고 도출해낸 원인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들고 상사에게 찾아가 여쭤보자.

그렇다면 내 생각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놓친부분은 무엇인지. 더 나은 해결방안은 뭔지 피드백 받을 수 있고 내 방향이 명확해진다.

 

 

  • 동북아 협력?

-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는지? (구체적인 경험은 있는지?)

어렷을때부터 일본문화에 관심이 있었는데 대학교 4학년때 중국 관련 수업을 들으면서 중국에 흥미가 생긴 것이 시작

이후 일본어 중국어까지 학습하며 자연스레 각 나라에 문화에 관심이 가면서 동북아 교류에 기여할 수 있는 일에 종사하고 싶었다.

 

- 구매랑 어떻게 연결되는지?

정말로 많은 식자재, 업무를 담당해야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야하는 직무이기에 내가 가장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

그래서 내 직무 전문성과 식자재에 대한 이해도 등 가능성을 끌어올려 실제 동북아관련 사업에 종사하고 싶었음.

 

그럼 영업도 갈 수 있잖아?

그렇게 생각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함.

그러나 사업장과 좀더 관여되어 있는 영업보다는 내가 실제 식자재 현장에 가서 현실을 파악하고 식자재에 대한 전문성을 쌓는것이 내 전공과도 연관되고 식품 문화에 더 깊게 관여하는 느낌이 들었다.

 

- 웰스토리랑은 어떻게 연결되는지?

제일 첫째로 회사의 가치관이 날 몰입할 수 있게 해줄거라고 생각함

웰스토리는 비요미 사업을 추진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등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정말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다같이 사이좋게 지내는게 내 최종 목표인데 웰스토리도 같은 가치를 추구하는 것을 보고 몰입할 수 있는 곳이라고 느꼈다.

그리고 사업적인 면으로 보면 중국 법인 기업이 한중일 교류의 산증인이라 생각한다.

중국의 유통망, 외식 사업에 뛰어들고 있고 이때 유통기술은 일본 고쿠부의 콜드체인 시스템을 차용하고 있다. 거기다가 한국에서의 품질관리 노하우 유통망 구축 노하우를 이용하고 있다. 

내가 중국 사업에 관여한다면 중국, 한국, 일본 전부에 관여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웰스토리의 중국사업이 매우 매력적이라고 느꼈다.

 

-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인지?

현재 기준으로 본다면 콜드체인시스템이 핵심이라고 본다.

중국은 현재 식품 안전 문제에 골치를 겪고 있다

빠르게 성장한 경제수준 덕에 외식 산업 프랜차이즈들도 점포수가 매우 늘어나고 있지만 그 규모에 비해 유통, 품질 안전 관리에 대한 전문성이 많이 부족하다

그치만 웰스토리는 품질을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유통기술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전국적인 유통망을 운영했던 경험도 있다.

따라서 2016년 기준으로 기업 단체 급식장에 집중했던 B2B고객들도 좋은 비즈니스 파트너이지만 외식 프랜차이즈들도 좋은 고객들이 될수 있을거라 생각함.

 

- 동북아 협력에서의 나의 역할은?

나의 역할은 중국 현장에서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망을 형성해서 건강한 삶의 질을 높여 행복하게 만들어주는것.

이 과정에서 한국에서 쌓은 나의 구매 직무 노하우, 공급망을 구축하는데 쓰이는 일본의 기술이 동북아 교류에 기여할 수 있다.

 

- 동북아 협력을 이뤘다는 객관적인 지표는 어떻게 되는지?

구체적인 예로 들은 외식프랜차이즈들의 비위생 식품 적발 건수가 낮춰지면 내가 기여한 것이다.

또한, 웰스토리의 중국사업의 규모가 커지고 매출이 증대된다면 그 안에서 나 또한 기여한 것이기에 동북아 협력에 살아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웰스토리의 목표는 삶의 질을 건강하게 높여 인류 행복에 공헌하는 것이니 중국 사업의 성장은 모두가 행복해진 결정적인 지표이다.

 

- 어떤식으로 안정적인 공급망 형성에 기여할건지?

수동적인게 아닌 능동적으로 일하겠다.

단지 발주들어오는 것만 처리하는 조달구매가 아닌 능동적으로 식자재 트렌드를 조사하여 공급선 유지가 끊기지 않게 노력하겠다.

예를들어, 기존에 사용하던 공급선이 최근 식품트렌드를 볼때 많이 안정적이지 못할것 같다 싶으면 다른 대체품이나 최근 트렌드 식자재를 영업 분들께 먼저 추천하는 식으로 건의드려보겠다.

이런 나의 노력들이 변동성이 큰 식품 시장에서도 안정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면접은 자소서의 심화버전이다

 

1. 주장한 키워드들을 도출하고 구체화(재해석) 시키자

예) 동북아 협력을 이끌어 내겠다.

그러면 실제 현장 데이터에서 중국인들은 어떤 식자재를 사업장에서 선호하는지 분석해보겠다는 포부를 섞기

 

2. 추가 경험 + 다른 목표에 대해서 준비하자

 

 

면접관은 성숙한 사람을 뽑고싶어함. 성숙한 사람은 누구야? 감사할줄 아는 사람

 

 


 

 

1. 임원면접의 주의사항

- 거슬리는걸 안하는걸 목적으로 해라

(나 같은 경우는 손 제스쳐, 입술 낼름거리기, 눈 세게 깜빡이기, 말투가 거슬림, 같은 경험을 너무 우려먹는다)

정상범주에 들어가야하기 때문 (평가가 주관적인 경향이 있다)

 

- 인성면접이 아닌 토탈면접이다

내 기질적 특성을 다 물어볼수 있음. 그 특성을 회사와 직무에 어느정도 어울리는지를 평가

 

2. 실수들

- 자소서와의 약간의 차이도 허용하지 말자

(맥락을 유지하되 가장 매력적으로 다르게 표현해도 됨)

- 기출 기반은 정보량이 매우 부족

- 머리로만 암기하지 마라 

 

3. 18개 카테고리

 

- 회사 지원동기

 

- 회사에 대해 요약 (회사 이슈, 성장 가능성, 현재 리스크)

단체급식(푸드서비스) + 식자재유통 서비스

현재 국내 단체 급식 사업 1위를 하고 있으며 사업 비중은 푸드서비스 쪽이 더 크다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봄. 베트남에 진출하여 단체급식 업계 1위를 달성. 업계 최초 베트남에 식자재 물류센터를 세웠음

또한, 중국에도 푸드서비스 유통망 사업에도 진출. 이때 중국 현지 국영 식자재기업과 일본 고쿠부의 기술을 도입해 성장중

현재 리스크 물가상승으로 인한 원재료 가격상승과 인건비 상승. 

 

- 회사에서의 커리어 플랜 (최소 두단계로 진행되는 커리어플랜)

 

 

- 회사에서의 궁극적 목표

 

- 해당 산업에 관심을 가지게된 계기

 

- 산업의 관심 이슈 + 경제 관련 이슈

한국

1. 대체육 (국내 산업에서 더욱 발전해야할 방향 키워드)

 

중국

1. 건강을 신경씀 + 위생문제가 터지고 있음 (웰스토리의 콜드체인시스템 + 급식업계 국내 1위로서의 품질관리 노하우로 더욱 확장할 수 있음)

 

- 직무를 한단어로 요약한다면?

안정추구(구매 직무는 사업장의 푸드서비스 생산 계획에 차질없이 자재를 공급해주는 것이 본질. 원가 절감, 새로운 협력쳐 발굴도 중요하지만 결국에 직무의 본질은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하고 형성하는 것에 있다는 것이다)

 

- 직무로까지 오게 된 과정을 두단계 설명

 

- 직무관련 트렌드 및 이슈

 

- 전공 선택 이유 

 

- 학점에 대한 자가평가 (자신있는 과목, 자신없는 과목)

 

- 장단점

 

- 가치관

 

 

- 인생의 궁극적 목표

일본으로 가서 게스트하우스겸 술집을 차리는 것

은퇴후 내가 얻은 식자재에 대한 안목과 요리도 배워서 여행온 손님들에게 안주를 내어주며 같이 술한잔 하는 마스터가 되고싶음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을 즐기기 때문이고 다른 사람의 인생얘기를 들으며 노후를 보내고 싶다.

 

- 주요 경험 (자소서 포함) 뽑아서 4가지 카테고리로 정리

왜 시작했고

왜 종료

구체적으로 뭐했고

거기서 배운 역량이 뭔가

 

- 1분 자기소개

안녕하십니까. 삼성웰스토리 식음구매 직무에 지원한 황동원입니다.

저는 목표가 있으면 무조건 실행하는 사람입니다.

식음구매 직무는 다양한 업무를 맡는만큼 목표가 다양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선 실행력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관련 경험으로 실행력을 키워왔습니다.

첫째, 유학생 봉사동아리 회장 역임 시절 설계했던 구매 전략을 즉시 실행해 동아리 굿즈 비용의 80%를 절감시켜 저렴하게 굿즈를 제작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둘째, 삼성웰스토리에 너무나 입사하고 싶은 마음에 무작정 본사에 찾아가 기존에 일면식도 없었던 현직자 인터뷰를 성공시켜 구매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더욱 키웠습니다.

이와 같은 제 실행력으로 목표가 있거나 문제상황이 있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곧바로 실행하여 성장하는 인재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大家好。我是报名参加三星well story饮品采购的黄东元。
我是有目标就一定会实行的人。
饮食购买职务负责多种业务,目标多种多样,为了实现这一目标,必须具备执行力。
通过相关经验培养了执行力。
第一,在担任留学生服务社团会长时期,立即实行了购买战略,节约了社团周边费用的80%,有过制作低廉周边的经验。
第二,因为非常想进入三星well story公司,所以盲目地来到总公司,成功采访了之前从未谋面的现任者,从而加深了对购买职务的理解度。
以我的这种执行力,如果有目标或问题,我会立即解决,成为成长的人才。
谢谢。

 

こんにちは。サムスンウェルストーリー購買職務に志願したファン·ドンウォンです。
私は目標があればすぐ実行する人です。
購買職務は多様な業務を担当するから目標が多様で、これを達成するためには実行力が必須だと思います。
関連経験により実行力を育ててきました。
「まず、留学生ボランティアサークルの会長を担われていた時に設計した購買戦略をすぐ実行し、サークルグッズ費用の80%を節減して、安くグッズを製作した経験があります。
次に、「三星ウェルストーリー」に本当に入社したいと思って、本社を訪れ、従来は一面識もなかった現職者のインタビューを成功して、購買職務への理解をさらに深めました。

このような私の実行力で目標があったり、問題状況があればこれを解決するために直ちに実行して成長する人材になります。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마지막 할말

 

- 질문 사항

 

- 성공, 실패, 혁신, 갈등 해결, 리더십, 팀워크 (30~40초 내로 말할 수 있게 하고)

 

갈등 해결의 노하우는 뭐냐

(본인의) 리더십은 뭐라고 생각하냐

팀워크란 어떻게 발휘 되냐?

(재정의와 경험 정리)

 

내 최종꿈을 명확히 정의. 그리고 그 과정을 세부화

최종꿈과 웰스토리의 연관성은 어떻게 되는지?

최종꿈과 내 직무역량을 키우는 것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지원동기는 뭔지?

내 최종 목표를 위해 몰입할 수 있는 곳이었기 때문

최종 목표는 동북아 교류 협력에 기여

그를 위해선 내가 직무 역량을 국내에서 키워야함

때문에 많은 업무를 담당하고 도전할 수 있는 식음구매 직무를 원했고

지역상생의 esg 경영을 선도하고 있는 웰스토리의 가치관과 내 꿈의 가치관이 맞기 때문에

몰입해서 발전할 수 있겠다고 판단.

 

구매 직무란 정확히 무엇인지? 한줄로 표현

구매 직무를 위해 내가 노력한건 무엇인지?

- 목표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행력 키웠음. 

NCS 직무기술서, 책, 유튜브 영상을 보며 구매 직무의 전반적인 지식을 기름

+ 실제 웰스토리 업무 현장에서 더욱 잘 적응할 수 있게 현업자들을 인터뷰하여 간접경험함

 

역량을 키우기 위한 앞으로의 계획이 뭔지? (보완점)

 

프레시웨이 약점

- 최근 해외 사업의 부진

 

아워홈 약점

- 외식 식품부문 사업이 부진하여 적자

 

현대그린푸드 약점

- 중구난방 사업 (반도체조명, 여행산업)

 

삼성웰스토리 강점

- 큰 범위의 계열사로 사업 아이템 개발시 전문가 자문에 유용 (웰핏)

- 베트남 단체급식 사업 1위 (베트남 식자재 물류센터도 최초로 지음)

- 푸드서비스 사업 1위 (그 많은 사업장을 관리하려면 공급망도 매우 복잡하기에 내가 취급할 식자재 품목도 많음이 매력적)

 

국내에서 더욱 영향력을 확보하려면 어째야해?

축산 분야 친환경에 집중해보는 것은 어떨까. 즉, 대체육에 집중하는 것은 어때?

ESG 경영에 의한 비요미, 웰핏, 웰그리너 캠페인도 좋고 저탄소 배출을 위해 채소, 해산물에 신경쓰는것도 좋음

그치만 고기를 먹고 싶어하는 사람은 여전히 많기 때문에 최근 맛도 많이 좋아지고 수요도 많아지고있는 대체육 공급망을 형성하는데 조금 집중해 보는것은 어떨까 조심스럽게 제안해봅니다.

 

 

왜 구매 직무에 지원했나?

 

-> 기억남는 상대적인 문화는 뭐가 있었나?

+ 그게 직무수행을 하면서 어떻게 도움이 되겠나?

중국인들은 식당에서 음료수를 마실때 냉장고에 넣지 않고 미지근하게 마신다는 것.

향후 좋은 기회가 주어져 중국 사업에 관여하게 된다면, 음료 부분은 구매 관리에서 온도 관리보단 포장재의 찌그러짐, 맛, 향 등의 지표에 더 집중할 수 있다.

 

+ 이런 다양한 글로벌 경험이 우리 직무에서 어떻게 도움이 되겠나?

제한적인 국내 단체 급식 사업에서 영역을 더 확장하기 위해 중국과 베트남에 진출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중국과 베트남 사업이 안정화가 되면 다른 지역으로도 확장할 가능성이 있음

이때 나는 그 사람들과 교류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 어떻게 도움이 된다는 거?

우리나라 사람들만 해도 외국인을 만났을때 그 외국인이 한국에 방문한 적이 있다고하면 매우 반가워하며 친근감을 느낀다

이는 외국인도 마찬가지일 것이며 서로 처음에 친근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것

 

-> 글로벌 비즈니스 역량이란 정확히 어떤것을 의미하는가?

여러가지로 설명할 수 있겠지만 이해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틀린게 아닌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은 흔한 말이지만 실제로는 정말 어렵고

진정으로 상대방의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진정한 글로벌 역량이라 생각한다.

 

 

-> 학부생 실험실 인턴이 구매직무에 어떻게 도움이 될것인가?

어려운 점은 없었나?

구매직무도 물류센터나 사업장에서 품질 관련 이슈가 들어오면 보고를 받는다.

그렇다면 나는 반드시 데이터를 확인할 일이 주어질 것이다.

때문에 식품 품질 관련 실험실에서 인턴을 했던 경험은 품질 관련 사람들과 교류하는데 도움을 줄것이다.

 

-> 엮을  있으면 일본과 협업할  내가 일본 현지 비즈니스 환경 경험이 있다는 것을 어필해 커뮤니케이션 하는데 도움이  것이라고 어필하자

일본 인턴 연수에서 얻었던 점은 뭐에요? 어떻게 우리 회사에 도움이 될것 같아요?

일본 인턴 연수에서 가장 크게 얻었던 점은 일본 특유의 비즈니스 매너 몇가지를 직접 실습했다는 것입니다.

삼성은 중국 법인에서 일본 식자재 1등 기업인 고쿠부의 콜드체인시스템을 사용하는 기술교류를 하고 있고 활발하게는 아니더라도 일본 식자재들을 수입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때문에 일본 식자재를 구입할 일이 생기면 내 경험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중국어 자기소개, 입사후포부 정도는 중국어로도 만들어놓자

 

  • 1분 자기소개

안녕하십니까. 삼성웰스토리 식음구매 직무에 지원한 황동원입니다.

저는 목표가 있으면 무조건 실행하는 사람입니다.

식음구매 직무는 다양한 업무를 맡는만큼 목표가 다양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선 실행력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관련 경험으로 실행력을 키워왔습니다.

첫째, 유학생 봉사동아리 회장 역임 시절 설계했던 구매 전략을 즉시 실행해 동아리 굿즈 비용의 80%를 절감시켜 저렴하게 굿즈를 제작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둘째, 삼성웰스토리에 너무나 입사하고 싶은 마음에 무작정 본사에 찾아가 기존에 일면식도 없었던 현직자 인터뷰를 성공시켜 구매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더욱 키웠습니다.

이와 같은 제 실행력으로 목표가 있거나 문제상황이 있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곧바로 실행하여 성장하는 인재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大家好。我是报名参加三星well story饮品采购的黄东元。
我是有目标就一定会实行的人。
饮食购买职务负责多种业务,目标多种多样,为了实现这一目标,必须具备执行力。
通过相关经验培养了执行力。
第一,在担任留学生服务社团会长时期,立即实行了购买战略,节约了社团周边费用的80%,有过制作低廉周边的经验。
第二,因为非常想进入三星well story公司,所以盲目地来到总公司,成功采访了之前从未谋面的现任者,从而加深了对购买职务的理解度。
以我的这种执行力,如果有目标或问题,我会立即解决,成为成长的人才。
谢谢。

 

こんにちは。サムスンウェルストーリー購買職務に志願したファン·ドンウォンです。
私は目標があればすぐ実行する人です。
購買職務は多様な業務を担当するから目標が多様で、これを達成するためには実行力が必須だと思います。
関連経験により実行力を育ててきました。
「まず、留学生ボランティアサークルの会長を担われていた時に設計した購買戦略をすぐ実行し、サークルグッズ費用の80%を節減して、安くグッズを製作した経験があります。
次に、「三星ウェルストーリー」に本当に入社したいと思って、本社を訪れ、従来は一面識もなかった現職者のインタビューを成功して、購買職務への理解をさらに深めました。

このような私の実行力で目標があったり、問題状況があればこれを解決するために直ちに実行して成長する人材になります。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입사후 포부

동북아 협력 (열사의 사업에 참여해 중국의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망을 구축하는데 기여)

내 최종 목표는 중국에서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망 형성에 일조하여 동북아 협력의 현장에서 일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국내에서 직무 역량을 키워야한다.

현직자 인터뷰를 특유의 실행력으로 해내고 나름의 깨달음을 얻었던 것처럼 똑같은 마음가짐으로 업무에 임해 역량을 키우겠다.

직무에 대한 인사이트가 있더라도 구매 업무에 대한 절대적인 경험치, 구매 매뉴얼에 대한 지식 등이 부족하다

구매 방침을 공부하여 우선 지식으로 삼고, 실제 현장으로 달려가는 실행력을 바탕으로 채화시키겠다.

그리고 언제 주어질지 모르는 기회를 잡기 위해 중국어 실력을 지금보다 더 끌어올려 내 최종 목표를 이룰 수 있는 기회를 붙잡고 싶다.

 

东北亚合作(参与烈士事业,为构建中国稳定的食材供应链做出贡献)
我的最终目标是,在中国形成稳定的食材供应链,在东北亚合作现场工作。
为此,首先要在国内培养职务力量。
我会以特有的执行力,像得到自己的感悟一样,以同样的心态面对业务,培养自己的力量。
即使存在职务上的问题,对购买业务的绝对经验值、购买手册的知识等也不够。
学习采购方针,首先作为知识,以奔赴实际现场的执行力为基础进行采画。
另外,为了抓住随时可能给予的机会,我想抓住机会,进一步提高汉语水平,实现我的最终目标。

 

-> 취미/특기가 어떻게 직무 관련 일을 할때 도움이 될까요?

취미 - 처음 가보는 골목 탐험을 좋아하기 때문에 외근을 좋아한다. 현장에 답이있다는 것을 몸소 깨달은 나에게 있어서 더욱 유능한 구매 직무 전문가가 되는데 도움이 되는 취미이다.

특기 - 연기를 잘하려면 캐릭터의 말과 행동에 대한 원인을 확실하게 알아야한다. 때문에 연기 경험은 여러 사람과 커뮤니케이션을 할때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해보는데 도움이 된다.

 

-> 활동이 끝나고 모두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느낌을 받았던 대표적인 활동 하나만 얘기해보세요. 거기서 얻은 점은? 아쉬웠던 점은? (필살기랑 연결)

동아리 굿즈를 제작했을 때.

나 혼자서는 절대 하지 못할 일이었음.

특히 나와 다른 강점을 가진 부회장이 내가 보지 못한 부분을 봐주었기 때문에 저렴하게 굿즈를 제작할 수 있었음.

얻은 점 : 내 부족한 점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빠르게 피드백을 받는것이 조직의 성공으로 이어진다는 것.

아쉬웠던 점 : 좀더 빨리 깨달았다면 과거의 실패경험이 좋은 성공경험으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는 것.

 

 

-> 중국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에 구체적인 방안을 생각해본게 있는지?

특정 품목에 대한 것은 생각해보지 않았지만 내가 추구해야할 태도는 생각해보았다.

수동적인게 아닌 능동적으로 일하겠다.

단지 발주들어오는 것만 처리하는 조달구매가 아닌 능동적으로 식자재 트렌드를 조사하여 공급선 유지가 끊기지 않게 노력하겠다.

예를들어, 기존에 사용하던 공급선이 최근 식품트렌드를 볼때 많이 안정적이지 못할것 같다 싶으면 다른 대체품이나 최근 트렌드 식자재를 영업 분들께 먼저 추천하는 식으로 건의드려보겠다.

이런 나의 노력들이 변동성이 큰 식품 시장에서도 안정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그럼 최근 중국의 식품 트렌드는 어떠한가?

가성비보다는 건강에 더 신경쓰고 있다

설탕이 들어가지 않은 탄산음료, 칼로리가 낮은 다이어트용 간식 등의 소비가 늘고있다.

때문에 영업분들이나 사업장에게 기존보다 좀더 건강에 맞춘 식자재들을 추천해볼 수 있다.

 

-> 삼농문제에 대해 거창하게 얘기했는데 구체적인 방안이 있는지?

내 역량을 키워 아이바오지엔과 위에스이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곧 방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삼농문제 중에서 식량의 자체보급률이 낮은 것을 포커스로 맞추고 싶다.

한국처럼 중국인들도 건강식과 질이 높은 식품을 원하는 트렌드에 맞춰

중국 푸드서비스도 고급화가 이루어 져야하고 때문에 중국 현지 협력처들도 식자재의 품질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때문에 중국 사업에 참여하여 규모와 질을 키우는 것이 곧 중국의 농업 경쟁력을 확보하는데도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했고 이는 곧 동북아 협력에도 이어지는 사안이라고 생각했다.

 

-> 悅思意가 사용하고 있는 일본기술에 대해 아는대로 말해보시오

: 콜드체인 배송과 독자적인 포장관리 기술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독자적인 포장관리 기술에 대해서는 정보를 찾지못하여 콜드체인 배송에 대해 말씀드리겠다.

콜드체인 기술의 핵심목표는 식자재들이 생산현장에서 사업장까지의 유통에서 온도 변화를 막고 적정온도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알고 있다.

최근에는 저탄소 트럭을 운영하려고 하는 웰스토리에서 엔진이 꺼져도 온도 유지가 되는 트럭을 도입해 에너지 친환경 적인 콜드체인시스템을 이용하는 추세라고 알고있다.

 

 

-> 누비아주 동아리 결과를 수치화 시켜보자

 

-> 그렇게 부회장과 협업하여 이뤄낸 성과 하나만 말해봐라

 

-> 인턴  실패 경험을 좀더 재해석 해보자. 남탓 절대 하지 말고. 아쉬웠던 . 배웠던 . 원인 분석해보자

-> 인턴  그런 실패경험을 했는데  다시 협업에 뛰어들었나? 두렵지 않았나?

당시 실패원인을 깨달았고 다시한번 도전하여 내 생각이 맞는지 검증받을 수 있었던 기회였기 때문

두려움도 물론 있었지만 대학교 마지막 활동을 내 실패를 딛고 극복한 경험으로 장식하고 싶었다.

 

-> 혐오한다고해서 그게 무지한 상태에서 근거없이 싫어하는 거라는 보장이 어디에 있나? 그냥 자기 생각 아닌가?  알면서 싫어할  있는거 아닌가?

물론 잘 알면서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을 좋게 생각하지 않는 여론이 퍼져서 무지성 여론으로 굳혀질 가능성도 분명 있기에 걱정하는 차원에서 언급한 것 뿐이다.

중국은 커다란 시장이고 여론에 묻혀 중국을 대하는 데 있어 진정으로 중요한 태도를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

 

-> 삼성웰스토리의 중국사업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인지 알고있는가? 알고있는대로 말해봐라

한국에서 하고 있는 단체급식 푸드서비스 사업과 유통서비스 사업. 이 둘과 중국 사업은 맥락이 다르지 않은것으로 알고있다.

마찬가지로 기업 사내식당, 병원 등 B2B 대상으로 한 단체급식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고 있고 해당 사업장에 식자재를 유통하는 서비스사업도 담당하고 있다. 

이때 중국 현지 국영농업기업과 일본 식자재 브랜드 고쿠부와 협력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한국은 품질 관리의 노하우를 적용하고 있다고 알고있다.

또한 중국 현지 대학과 연계해 다양한 레시피를 개발하고 있고 한국에서도 조리사들을 초빙해 레시피 연구 및 교류를 하는 것으로 알고있다.

 

-> 노홍철을 존경하는데 존경하는 사람처럼 되려고 어떤 노력을 했나?

긍정적으로 생각하려 노력한다.

긍정적인 사람 주위는 밝은 에너지가 있기 때문이다.

도전을 하고 실행하는 데에 있어서 실패하면 어떡하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지만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며 도전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쌓여가는 성공경험은 나를 존경하는 사람과 닮게 해줄 것이다.